<aside> <img src="https://s3-us-west-2.amazonaws.com/secure.notion-static.com/f765100f-b481-437e-b531-5aae8d9bc5fe/1200px-React-icon.svg.png" alt="https://s3-us-west-2.amazonaws.com/secure.notion-static.com/f765100f-b481-437e-b531-5aae8d9bc5fe/1200px-React-icon.svg.png" width="40px" /> Velopert's Modern React
</aside>
목차
useEffect
Hook을 이용해서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 되고, 언마운트 되고, 특정 props가 변경 될 때(업데이트 될 때) 사용하는 방법. 클래스형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와 비슷하다. useState 처럼 반드시 컴포넌트 함수 안에서 사용해야 한다.
import { useEffect } from 'react'
로 불러올 수 있다.useEffect(함수, 의존값이 있는 배열(deps))
형태로 사용한다. 두번째 인자인 배열을 넣지 않으면 컴포넌트가 처음 마운트 될 때만 useEffect에 등록한 함수가 호출된다.useEffect hook을 실전적으로 잘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👉여기 에 다시 기록했습니다.
useMemo
연산을 도와주는 재사용 함수라고 할 수 있다. 주로 성능 최적화를 위하여 사용된다. 이전에 계산한 값을 기억하고 재사용 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.
import { useMemo } from 'react'
로 불러올 수 있다.useEffect(연산을 정의하는 함수, 의존값이 있는 배열(deps))
형태로 사용한다. deps에 등록한 내용이 변경되면, 등록한 연산 함수를 호출해서 값을 연산한다. deps의 내용이 바뀌지 않았다면, 이전에 연산한 값을 재사용 한다.